리노공업
cj대한통운
하나투어
티씨케이
한솔케미칼
천보
기준을 PER가 9배 이하,
PBR가 1배 이하
기준을 PER가 9배 이하,
PBR가 1배 이하
① 자기자본이익률(ROE : Return On Equitly
ⓐ 최소 ROE가 은행 이자보다 높은 종목
ⓑ ROE가 높은 기업이어도 주가가 기업의 현재 가치나 실적 등에 비해서 너무 고평가 되어있는 경우에는 투자하면 수익을 기대할 수 없음.
ⓒ 현재의 ROE보다는 예상 ROE가 더 중요. 하지만 예상 ROE는 기업의 환경에 따라 계속 변화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
② 주당순이익(EPS : Earning Per Share)과 주가수익비율(PER : Price Earning Ratio)
EPS와 PER은 기업의 가치와 주가의 현재 수준
EPS는 주식 1주가 한 해 동안 벌어들이는 순수익을 말합니다.
EPS가 마이너스라면 기업이 손실중으로 자본잠식 중이라고 판단
적정주가(기업가치) = 예상 주당순이익(EPS) × 업종평균 주가수익비율(PER)
③ 이브이에비타(EV/EBITDA)
영업이익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내는 지표입니다.
④ 주가순자산비율(PBR : Price Book-value Ratio)
PBR은 주가를 1주당의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 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업의 청산가치(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 보는 방법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주가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PER에 비해서 PBR은기업의 재무내용과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합니다.
PBR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PBR이 높다는 것은 재무내용에 비해서 주가가 높다는 것이고,
PBR이 낮다는 것은 그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PBR이 낮을 수록 저평가 된 종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저평가 주식
반응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