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News

노션 자동화의 모든 것

poststory 2025. 4. 18.
반응형

노션 자동화의 모든 것

매일 반복되는 업무, 수동으로 하고 있나요? 노션 자동화를 통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실전 방법을 지금 공개합니다.

 


자동화? 노션에서도 된다고?

많은 사람들이 노션은 '수동 입력 도구'라고 생각해.
직접 페이지 만들고, 할 일 적고, 일일이 정리하는 식이지.

근데 사실 노션은 기본 기능만 잘 활용해도 반자동 시스템을 만들 수 있고,
외부 앱과 연동하면 완전 자동화 시스템도 구축 가능해.

특히 반복 업무, 보고용 문서, 프로젝트 관리 등에서 자동화는 시간을 아끼는 핵심 무기가 돼.

 


기본 자동화: 노션 자체 기능으로 할 수 있는 것들

1. 🧱 템플릿 + 버튼 자동 생성

  • 회의록, 콘텐츠 기획서, 보고서 등 자주 쓰는 페이지 → “Template Button”으로 만들면 클릭 한 번으로 생성

2. 🗓 날짜 기반 필터 + 자동 뷰 정렬

  • 오늘 할 일만 보여주는 필터
  • 마감일 임박한 순으로 정렬

3. 🧠 Formula 속성 활용

  • “D-day 계산”: dateBetween(prop("마감일"), now(), "days")
  • 긴급도 판단: if(prop("D-day") < 2, "🔥 긴급", "📌 보통")
  • 상태 자동 지정: if(prop("완료") == true, "Done", "In Progress")

4. 🔄 Rollup + Relation 조합

  • 프로젝트 완료율 자동 계산
  • 프로젝트 → 작업 연결 → 하위 Task 완료율 %로 표시

이런 기본기만 갖춰도 ‘스스로 반응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어.

 

노션 자동화 대시보드와 외부 앱 연동 워크플로우 화면


Zapier & Make: 외부 앱 자동화 연결

노션은 공식적으로 API를 제공해.
덕분에 Zapier나 Make 같은 자동화 플랫폼과 연결이 가능해.

실전 자동화 예시 1: Google Form → Notion 자동 입력

  • 고객 설문 Google Form 작성
  • Zapier를 통해 Notion DB로 실시간 자동 기록

예시 2: Gmail → 업무 생성

  •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이메일 수신 시
  • Notion에 자동으로 할 일(Task) 생성

예시 3: 캘린더 연동

  • Google Calendar에 일정 추가 시
  • Notion의 “일정 DB”에 자동 반영

이런 식으로 다른 앱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노션에 적재할 수 있어.
데이터를 따로 복붙하거나, 엑셀로 옮기는 수고가 사라지는 거지.


Notion API 직접 활용: 진짜 자동화의 시작

개발자가 있다면 Notion API를 통해 진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어.

예시:

  • 매일 오전 9시에 오늘 할 일 자동 생성
  • 완료된 업무를 자동 백업 저장
  • 정해진 시간에 알림 + 페이지 링크 전송

이건 Node.js, Python 등으로 쉽게 구현 가능하고, Notion 공식 문서도 잘 되어 있어.

활용 가능한 API 작업:

  • 페이지 생성/수정
  • 블록 업데이트
  • DB 쿼리 / 필터링
  • 댓글 추가

자동화 팀을 꾸릴 수 있는 조직이라면,
Notion API는 모든 사내 시스템을 중앙화할 수 있는 핵심 툴이야.

 


“잘못 알려진 사실”

많은 사람들이 노션 자동화에 대해 이렇게 생각해:

“자동화는 코딩을 해야 돼서 어렵다.”

❌ 현실은 그렇지 않아.

  • 노션 안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버튼, 데이터 필터, 포뮬러, 관계 속성, 롤업 기능만으로도
    꽤 복잡한 자동화 시나리오를 만들 수 있어.

또 이런 말도 자주 들어:

“Zapier 같은 건 유료라서 못 써요.”

🤦‍♀️ 완전히 잘못된 생각은 아냐. 근데 무료 티어만으로도 대부분의 간단한 자동화는 충분히 가능해.

특히 Make는 무료 플랜도 기능이 풍부하고,
Notion 커뮤니티에서도 기본 시나리오 템플릿들이 공유되어 있어서
코딩 없이 복붙만 해도 자동화가 된다는 점!


크리에이터를 위한 자동화 시나리오

콘텐츠 캘린더 자동 생성

  • 매주 월요일 아침, “이번 주 콘텐츠 5건” 자동 생성
  • 각 항목엔 미리 정의된 기획 템플릿 적용됨

협찬 문의 관리

  • 구글 폼으로 받은 광고주 요청 자동 정리
  • 상태를 “검토 중 / 계약 완료 / 제작 중”으로 자동 분류

콘텐츠 업로드 체크리스트 연동

  • 영상 업로드 완료 시 자동으로 피드백 폼 전송
  • 편집자, 작가, 클라이언트 피드백 수합 → 한 페이지에 정리됨

이런 구조를 만들어 놓으면 한 명의 팀원이 모든 일정을 관리할 수 있어.


프로젝트 팀을 위한 자동화 시나리오

1. 신규 프로젝트 시작 버튼

  • 누르면: 프로젝트 DB + Task DB + 문서 템플릿 자동 생성
  • 관련 팀원 자동 태그 / 마감일 자동 설정

2. 작업 완료 시 자동 보고서 생성

  • 상태가 ‘완료’로 변경되면 보고서 페이지 생성
  • 결과, 링크, 작업시간, 담당자 자동 요약

3. 리마인더 기능

  • 마감일 기준 2일 전, Slack 알림 전송
  • 리더/담당자 자동 태그 포함

이 정도만 구성해도 프로젝트는 멈추지 않고 굴러가게 돼.


자동화 대시보드 설계

모든 자동화를 대시보드로 시각화해보자.
이건 팀의 ‘운영 본부’ 같은 역할을 하게 돼.

자동화 대시보드 구성 예:

  • 오늘의 작업 (오늘 날짜 자동 필터)
  • 마감 임박 항목 (D-day 기준)
  • 미응답 항목 리스트
  • 최근 생성된 문서 5개
  • 진행률 시각화 바

여기서 버튼 하나로 새로운 업무를 생성하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지.


노션 자동화의 한계와 대안

모든 걸 다 자동화할 수는 없어.
특히 Notion 단독으로는 아래가 제한돼:

  • 반복 알림 (리마인더 기능 미비)
  • 대량 데이터 처리 속도
  • 모바일 인터페이스 제한
  • 조건문 처리의 복잡성 (If-Else 다중 조건 불가)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

📌 대안

  • Make/Zapier로 부족한 조건 제어 보완
  • API로 커스터마이징
  • Notion + Slack 연동으로 알림 처리
  • 반복 작업은 아예 다른 자동화 도구로 분리해서 다루기

 


마무리 요약

노션 자동화는 단순한 시간 단축이 아니라,
업무 체계 자체를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전략이야.

  • 템플릿, 포뮬러, 필터로 ‘내부 자동화’
  • Zapier, Make, API로 ‘외부 자동화’
  • 콘텐츠, 프로젝트, 피드백, 설문 등 모든 업무를 연결

이걸 구축하면 혼자서도 작은 팀처럼 일할 수 있고,
팀이라면 사람이 바뀌어도 시스템은 돌아가게 만들 수 있어.

지금부터라도 한 가지 자동화를 시작해봐.
“한 번의 설정으로 반복 업무를 없애는 쾌감”은,
직접 해본 사람만이 알 수 있으니까.


 

반응형

댓글

💲 추천 글